💰 자본금 vs 잉여금, 헷갈리는 회계 용어 한 번에 정리!
1. 자본금이란?
자본금은 법인을 설립할 때 출자된 최초 자금입니다. 주식회사의 경우, 주주들이 납입한 액면가 총합이 자본금으로 기록됩니다.
- 📌 예: 자본금 1억 원 = 액면가 5,000원 × 주식 수 20,000주
- 📌 증자 시 자본금 증가 가능 (유상증자, 무상증자 등)
2. 잉여금이란?
잉여금은 기업이 경영 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누적 이익 중 배당하지 않고 남겨둔 금액입니다. 이는 기업의 내부 유보 재원이자 미래 투자에 활용 가능한 자본입니다.
- 📌 이익잉여금: 경상이익 누적분
- 📌 자본잉여금: 주식발행 초과금, 감자차익 등 자본거래로 발생
3. 자본금과 잉여금의 핵심 차이
항목 | 자본금 | 잉여금 |
---|---|---|
성격 | 설립 시 출자금 | 경영성과 누적 이익 |
증감 | 증자/감자 시 변화 | 영업이익, 배당 등으로 변화 |
회계 구분 | 자본금 계정 | 잉여금 (이익/자본) |
의미 | 기업의 기초 체력 | 기업의 성장력 지표 |
4. 왜 이 차이를 알아야 하나요?
자본금과 잉여금의 구분은 단순한 회계 개념을 넘어, 배당 가능 여부, 신용도 평가, 법인세 절세 전략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.
예시 전략
- 📌 잉여금 과다 → 무상증자로 자본금 전입 → 배당 가능성 축소
- 📌 자본잠식 우려 → 유상증자로 자본금 보완
- 📌 자본잉여금 활용 → 법인 전환 시 세무 절세 설계 가능
5. 회계 초보도 이해하는 예시
A 법인 설립 자본금: 5,000만 원
3년간 누적 순이익: 1억 2천만 원 → 이익잉여금
주식 발행 초과금: 3천만 원 → 자본잉여금
총 자기자본 = 자본금 + 잉여금 = 5천만 원 + 1.5억 원 = 2억 원
✅ 마무리: 자본금과 잉여금은 전략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
재무제표를 보는 능력은 회계 용어 하나하나의 정확한 이해에서 시작됩니다. 자본금과 잉여금의 개념을 정확히 알고 있으면, 배당 설계, 절세 전략, 투자 유치 모두 한층 유리해집니다.
📩 자본구조 무료 진단 신청
자본금과 잉여금 구조 점검을 통해 기업의 세금 리스크와 투자 전략까지 함께 설계해보세요.
🔖 추천 해시태그
#자본금 #잉여금 #이익잉여금 #자본잉여금 #무상증자 #법인자본구조 #절세전략
#재무제표이해 #회계기초 #세무컨설팅 #세컨톡