📉 감자, 자본 줄일 때 꼭 알아야 할 절차와 세무처리
1. 감자란 무엇인가?
감자(減資)는 자본금을 줄이는 절차를 말합니다. 주로 재무 구조 개선, 가지급금 정리, 자본잠식 회복 등의 목적으로 시행됩니다.
2. 감자의 유형
- 무상감자: 주주에게 반환 없이 자본금만 줄임
- 유상감자: 주주에게 현금 등 자산을 지급하며 자본금 축소
- 액면감자: 주식 수는 유지하고 액면가만 줄임
- 병합감자: 주식 수를 줄이며 자본금 감축
3. 감자 절차 (비상장법인 기준)
- 이사회 결의
- 주주총회 특별결의 (총 의결권의 2/3 이상 필요)
- 채권자 보호 절차 (공고 및 이의신청 기간 최소 1개월)
- 등기 절차 진행 (감자 등기)
4. 감자와 세무처리
① 무상감자 세무
- 주주 입장에서 세금 없음
- 법인 입장에서도 손익 영향 없음
② 유상감자 세무
- 자본환급 초과액이 발생하면 배당소득세 또는 기타소득세 과세
- 주주는 세금 납부 필요, 법인은 지급총액에 대해 원천징수 의무 발생
③ 감자 + 가지급금 정리
- 감자를 통해 대표이사의 가지급금과 상계하면 실질적 부채 축소 효과
- 자본금 감소가 가지급금만큼 이루어져야 세무상 인정
5. 실무 사례
D사는 과도한 가지급금(2억 원)으로 인해 외부 감사와 금융권 평가에서 낮은 점수를 받고 있었습니다. 전문가의 설계 하에 무상감자 + 출자전환을 병행하여 가지급금 전액을 자본으로 전환하고 법인 신용등급 개선 + 세무 리스크 제거에 성공했습니다.
💬 “감자는 회계적 절차인 동시에 전략적 절세 수단입니다.”
📩 감자 컨설팅 무료 진단
자본잠식, 가지급금, 지분 정리 등 다양한 이유로 감자를 고려하고 계시다면 지금 바로 전문가와 함께 전략 설계를 시작해보세요.